<p></p><br /><br />학교 앞 '어린이 보호구역'처럼 어르신들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'노인 보호구역'도 있다는 사실 아십니까? <br> <br>도로 곳곳에 설치는 됐지만 있으나마나 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잡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걸음이 느린 할아버지가 횡단보도를 다 건너가기도 전에 신호가 바뀌었습니다. <br> <br>좌회전하던 차량은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그대로 들이받았고, 할아버지는 크게 다쳤습니다. <br> <br>교통 약자인 노인들을 위해 '노인보호구역' 제도가 마련돼 있습니다. <br><br>"경로당이나 복지관을 비롯해 어르신들의 통행이 많은 곳엔 이렇게 노인보호구역이란 표시가 돼 있는데요, <br> <br>어르신들을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겠다는 본래 취지가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, 현장으로 갑니다."<br><br>주변에 노인복지관과 요양병원 등이 몰려있어 어르신들의 통행량이 많아 '노인보호구역'으로 지정된 곳입니다. <br> <br>이 구역의 차량 운행 제한 속도는 시속 30km. <br><br>"제한속도가 표시돼있지만 보시는 것처럼 과속하는 차량이 많습니다.” <br> <br>[권재숙 / 인근 주민] <br>"노인보호구역이라고 쓰여 있지만 지켜지고 있다고 생각은 안 들어요. 속도를 30km로 얼른 줄이기가 쉽지 않으니까." <br> <br>노인보호구역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많습니다. <br> <br>[인근 주민] <br>"노인보호구역이면 어떻게 하라는 거예요? <br>구역을 가지 말라는 거에요? 통제한다는 거예요?" <br><br>어린이보호구역처럼 과속 단속 CCTV와 과속 방지턱 등이 설치돼야 하지만, 그렇지 못한 곳들이 많습니다. <br> <br>[지자체 관계자] <br>"최근 민식이법으로 어린이보호구역이 계속 이슈화되고 사업비가 내려오고 있다 보니까 일단 그쪽을 중점적으로 진행을 하고 있어요." <br><br>내비게이션 앱에서도 어린이보호구역은 잘 알려주지만, <br> <br>[현장음] <br>"어린이보호구역입니다. 제한속도를 준수하세요." <br> <br>노인보호구역에선 알림이 뜨지 않습니다. <br> <br>[운전자] <br>"(단속) 카메라나 (노인보호구역) 안내멘트도 들어본 적 없는 것 같아요." <br> <br>내비게이션 업체 측은 노인보호구역들은 업데이트 중이거나, '보행자 사고 다발 지역'으로 안내 중이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지난 2018년 기준 대한민국은 고령 인구 10만 명당 보행자 사망자수가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> <br>[김영길 / 시장 상인] <br>"몇달 전에도 노인네가 도로로 가는거야. 버스가 안보이잖아요 밤에. 한 50m 밀고 가버렸어요." <br> <br>하지만 현실적으로 노인보호구역 지정도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지정되면 주정차 단속이 강화될 것을 우려해 주변 상인들이 반대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시장 상인] <br>"물건 잠깐 싣고 내리는 것조차 안된다 그러면 여기 장사를 하지 말라는 얘기인데." <br> <br>이런 가운데 법적으로도 노인보호구역은 <br>등한시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박무혁 / 도로교통공단 교수] <br>"(실버존에서 사고 발생 시) 스쿨존에 준하는 정도의 처벌은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입법적인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."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. <br><br>PD : 김남준 김종윤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donga.com